접근방법
COCREATION /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의 장점
1) 수요자 경험 개선
수요자 중심 관점 이슈를 발견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사를 통해 고객을 이해합니다. 통계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활동과 구분되는 방식으로서 고객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활동을 수행합니다.
2) 조직 내외 자원의 제약을 반영한 실현과 지속가능 수준의 결과물 도출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해야만 반드시 혁신일까요? 수요자의 요구를 만족한다면 간단한 방법으로도 혁신을 만들 수 있습니다. 조직의 자원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3) 조직 내부 문화 개선
조직 내외부 관계자로 이루어진 팀이 수요자 중심 사고를 통해 공동의 목표를 수립하고 각자의 위치에서 필요한 활동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조직내부 각 부서의 목표에서 벗어나 전체 조직이 하나의 목표를 수행함으로서 협력적 문화를 형성하고 조직 내부 자원과 역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4) 서비스 개선 개발 자원 절약
수요자 공감을 통해 어떤 이슈에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은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서비스 개발 전 실험 결과물을 통해 신속히 서비스를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코크리에이션 서비스디자인의 차별점
![비즈니스 브레인 스토밍](https://static.wixstatic.com/media/11062b_26b015c2a43146c2b3c1418bc59def16~mv2.jpg/v1/crop/x_0,y_1552,w_4200,h_1248/fill/w_980,h_291,al_c,q_8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EB%B9%84%EC%A6%88%EB%8B%88%EC%8A%A4%20%EB%B8%8C%EB%A0%88%EC%9D%B8%20%EC%8A%A4%ED%86%A0%EB%B0%8D.jpg)
서비스는 제품과 다릅니다.고객의 경험과 매출간의 높은 상관관계에서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고객의 경험 개선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하지만 서비스는 무형성, 소멸성, 이질성, 동시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루기 어렵습니다. 이 러한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코크리에이션은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합니다.
코크리에이션 서비스디자인
![다이아몬드 반복형 접근_210407.pdf_page_2.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916379_1b7f08b38af141e3b41011a25c68da58~mv2.jpg/v1/crop/x_0,y_4,w_3961,h_2246/fill/w_948,h_535,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EB%8B%A4%EC%9D%B4%EC%95%84%EB%AA%AC%EB%93%9C%20%EB%B0%98%EB%B3%B5%ED%98%95%20%EC%A0%91%EA%B7%BC_210407_pdf_page_2.jpg)
코크리에이션 프로세스
서비스디자인의 특징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 기존의 디자인 회사들은 리서치, 분석, 협력적 기술을 보유해야 합니다. 서비스디자인은 조사를 통해 고객의 요구를 파악합니다. 통계나 데이터가 찾지 못하는 고객의 요구 즉, 고객이 무엇에 관심이 있고, 왜 있는지, 어떻게 서비스나 제품을 다루는지에 대한 부분을 찾아 냅니다.통계나 데이터는 현상의 일반화를 통해 정리를 돕는 반면, 서비스디자인의 사용자조사는 새로운 개선 요소를 찾기 위해 통찰을 얻는데 집중합니다.
중요한 차이점은 '서비스디자인은 디자인 결과물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점입니다.
서비스를 경험하는 흐름에서 수요자와 접촉되는 많은 요소들을 통해 고객의 서비스 경험을 구성합니다. 서비스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부 이해관계자간 협업 그리고 고객의 참여를 통해 문제를 발굴하고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 필수이므로, 서비스디자인은 결과물 보다는 솔루션을 디자인해나가는 '참여의 과정'에 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