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프로젝트
co-how(코크리에이션 노하우): 축적된 코크리에이션만의 노하우가 발휘된 포인트를 공개합니다!
팀 기반 협업 강조: 참가자들을 지역 다양성을 고려하여 팀으로 나누고 그룹활동을 수행하였습니다. 다양한 전문성을 가친 팀원들이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과정을 거쳐 팀 내에서 다양한 시각과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공유했습니다.
참가자 중심의 참여 활성화: 참가자들이 솔직한 경험을 나눌 수 있도록 안전하고 개방적인 발언환경을 조성했습니다. 농촌 청년들의 실제 경험과 어려움에 집중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정책 제안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전문 퍼실리테이터 총괄 기획으로 정형화된 프로세스 적용, 참여 관리 기술 부족등으로 워크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낮은 집단 효과성을 보완하였습니다.
참가자 소감
“때때로 진지하기도, 즐겁기도 한 시간이었습니다. 벌써 공식 일정이 끝난다고 하니 너무 아쉽습니다. 다른 청년 정책도 이런(리빙랩)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농촌청년을 주제로 이런 연구가 진행되고, 청년 당사자의 의견에 귀기울인다는 점이 의미있었습니다. 지역이살고 미래세대가 지속될 수 있도록 5개년 이상 10개년 등 장기프로젝트가 되어 정책 실효성을 느낄수 있길 기대합니다. 향후에는 지자체와 연계되어 지자체별로 청년 정책을 발굴하고 각 지역의 농촌청년들에게 의미있는 정책으로 이어지면 좋겠습니다.”
“타시군 청년들과 모일 기회가 없는데 비슷한 공감대를 가진 사람들하고 대화하듯이 이야기했던 부분이 기분 좋았습니다. 여러 권역의 청년들이 모여 다양한 지역의 청년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워크숍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귀촌한지 3년차인데 다른 지역 청년들과 이야기할 수 있어서 좋았고 이 모임을 통해 느슨한 비빌언덕 같은 공동체 의식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리빙랩을 저희 지역에 가서 제가 한번 해봐도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좋았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리빙랩을 통해 농촌 청년들이 모인 이유는?
현재 사회에서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청년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한데,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청년 세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도시에 비해 농촌의 청년 인구는 제한적이며, 지속적인 도시로의 유출로 농촌 청년인구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농촌과 청년: 청년 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_2022_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외
농촌 청년 인구의 증가는 전반적인 농촌 인구의 증가로 이어져, 농촌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킵니다. 그러나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에서 청년이 갖는 인구학적, 사회적,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와 정책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정부의 청년 정책은 농촌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 청년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비농업 분야 청년 정책은 도시 청년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청년과 관련된 연구와 통계는 존재하지만, 대부분이 도시 중심의 연구로 인해 농촌 청년 문제를 충분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원주민 농촌 청년과 농업 이외의 다양한 활동을 하는 농촌 청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이들에 대한 차별성 있는 조사나 연구가 제한적입니다.
청년이 바라는 농촌과 요구를 분석하고 청년 세대를 통해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리빙랩은 농촌의 지역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해결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는 적절한 수단으로 생각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국내 최초로 농촌 청년 정책 연구를 시작했으며, 농촌 거주 청년, 지자체 정책 관련 담당자, 연구자 및 리빙랩 운영진이 모여 리빙랩 워크숍 과정을 통해 농촌 청년들의 현장 실태를 파악하고 지원 정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자 했습니다.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전라권역, 강원충청권역, 경상권역으로 나누어 농촌 청년들의 지역적 특성과 문제를 이해했습니다. 권역별 다회차 워크숍에서 농촌 청년이 겪고 있는 문제를 구체화하고. 정의된 문제(주요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 의견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왔나요?
리빙랩 워크숍을 통해 농촌 청년들의 실제 어려움과 요구사항이 명확히 드러났습니다. 특히, 퍼실리테이션을 통해 실제 농촌 청년들의 목소리를 상세하게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농촌 청년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리빙랩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 청년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지원 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 6가지 분야(청년 농촌 정착 지원, 청년활동가 육성·취창업 지원, 청년공동체·지역개발 활성화, 청년 주도 농촌 디지털 전환, 미래세대를 위한 농촌 교육, 농촌 청년 정책 추진체계)의 농촌 청년 정책 추진과제를 계획하여 추진할 예정입니다.
관련 동영상
32:00~56:00
Bình luận